산행기 128

청와대 뒷길(백악정 코스)

청와대 뒷길이 개방된 지도 벌써 몇 개월이 지났건 만 그리 쉽게 트래킹을 잡지 못하다가 이번 8월 넷 째 주 일요일에 시간을 내어 보았다. 청와대 뒷길은 신문 기사들을 뒤져보니 청와대를 둘러싸고 있는 담벽을 한바퀴 도는 코스로 별로 시 간이 걸릴 것 같지 않았다. 청와대 동쪽 춘추관 옆 담의 등산로 입구에서 청와 대 위 백악정으로 해서 청와대 서쪽 칠궁 뒤길까지 를 청와대 뒷길(백악정코스)이라 하는 것 같았다. 그 곳만 산행하기가 싱거울 것 같아 우리는 성균관 대학 뒤쪽 와룡공원, 말바위 안내소에서 출발하기 로... 9시에 혜화역 1번 출구에서 친구들과 만나 종로 8 번 마을버스에 탑승하여 명륜 3가 종점까지 간다. 종점에서 내려 바로 계단을 올라서면 산성을 타고 가게 된다. 숙정문까지 가는데 경사도가 ..

산행기 2022.08.30

도전의 한계

11월 14일 일요일 가을이 푹 익어가는 곳으로 길 을 나섰다. 이미 시든 나뭇잎은 쪼들어든 불알처럼 길가나 산 길에 너브러져 있다. 오늘은 평시에 다니던 둘레길을 벗어나고픈 욕심이 든다. 모처럼 위문을 넘어 대동문으로 돌아와 볼까? 둘레길을 다니며 "우리가 다시 백운대를 올라 볼 수 있을까?" 하며 이제는 도저히, 아니 감히 도전할 수 없을 것이라 떠들어 댔는데... 둘레길을 3시간 이상 걷고 나도 다리가 뻐근한데, 어떻게 836m 백운대를 오른단 말인가? 백운대 올라본 지도 거의 10여 년 지난 것 같다. 그리고 둘레길만 다녔지, 좀 높은 산은 엄두가 나 지않아 오르지 못한지도 거의 2~3년. 모처럼 3시간이 넘는 트래킹을 하면 2~3일은 다 리 통증에 무척 괴로운데... 그러나 오늘은 감히 용기를 ..

산행기 2021.11.17

국립공원 무등산(無等山)

나이들어 4시간 이상되는 산행은 자신이 없는데 그 래도 가보지않은 산은 도전하고 싶은 욕심이 남아 있다. 그래서 둘레길이라도 열심히 걸어 다리 근육을 키 운다고 하였는데 제대로 될지 의심이 앞선다. 이번 휴일날(6월 27일)은 광주 무등산을 도전하여 보기로 한다. 3~4개월 전부터 6월 넷째 일요일로 계획을 세웠던 것이다. 아침 5시부터 픽업하기 시작하여 장위동에서 마지 막 한사람을 픽업하니 5시 30분. 모두 7명이 전라도 광주로 향한다. 장마가 시작한다고 하였지만 금일은 종일 좋은 날 이 계속된다는 일기예보가 있었기에 더욱 마음이 놓인다. 중간 휴게소에서 아침을 때우고 내비가 시 키는 대로 무등산 국립공원 입구로 향한다. 입구에 도착하여 일반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산행 을 시작하니 10시 20분. 무..

산행기 2021.07.01

북한산 둘레길 18(도봉옛길), 19(방학동길), 20(왕실묘역길)

오늘은 이미 끝낸 북한산 둘레길 코스 중 18, 19, 20코스를 다시 걷고 브로그를 완성하려고 나선다. 미아역에서 버스를 타고 출발하여 다락원에서 내린 다. 먼저 의정부와 서울 경계인 곳, 서울에서 의정부 서부로로 오르는 곳, 호원고가교 주위에서 끝냈 는데 연결하여 종주하려 한다. 오늘은 다락원 버스정류장에서 내렸기 때문에 길 건너 다락원 개천을 따라 오른다. 서울 YMCA 다락원 캠프장을 관찰하여야 하는데 그 쪽으로 오지않아 자세히 못보고 그냥 다락원 캠프 장 지나 바로 위의 도봉옛길 아치로 길을 잡는다. 여기까지 대략 1km 정도. 18코스 도봉옛길 들어서서 산으로 계속 오른다. 어느 정도 가다가 좌측으로 틀면 국립공원 북한산 생태 탐방원, 광륜사로 가게 된다. 광륜사는 익종비 조대비가 나라의 평안..

산행기 2021.06.24

북한산 둘레길 15(안골길), 16(보루길), 17(다락원길)

오늘은 북한산 둘레길 15, 16, 17코스를 완주하기 로 하고 의정부역에서 23번 버스를 타고 안골까지 가서 내린다. 8시 반에 미아역에서 출발해 안골 입구까지 도착 하니 9시 20분. 다시 안골 둘레길 입구가지 걸어간다. 대략 700~800m는 될 듯하다. 왜냐하면 산너미길 끝에서 안골 버스 타는데까지 900m 라 하였으니까. 9시 40분 둘레길 입구까지 진입. 안골 구간은 회룔 탐방지원센터까지 4.7km이고 2 시간 20여 분 소요된단다. 안골 계곡도 깊고 물이 풍부하다는 것은 전번 산 너미길에서 구술하였었다. 14구간 산너미길 끝내고 계곡을 따라 내려오면 15 구간 안골길 입구 안내 아치가 나타난다. 우리는 아래 버스정류장에서 걸어 올라 왔기 때문 에 정확한 거리는 모르겠다. 길가에 만첩빈도리가 ..

산행기 2021.06.09

북한산 둘레길 제 6(평창동 마을길), 제 7(옛성길)

2주 전 명상길을 끝내고 오늘은 6구간 평창마을길로 들어선다. 아래 이미지 왼쪽으로 시작한다. 평창(平倉)이란 어원은 조선시대 선혜청(광해군이 현물 대신 대동미와 포, 전을 받기 위해 설립한 관청)의 창고, 평창이 있었던 것으로부터 유래되 었다 한다. 산에 난 길이 아닌 마을 끝자락으로 아스팔트로 덮힌 길이다. 주택가 가로로 따라 걷는다. 으리으리한 건물들이 우리를 압도한다. 가끔 카페도 보이고 잘 정돈된 깨끗한 동네를 둘 러보는 것도 좋은 것 같다. 평창동 중간쯤 위쪽에서 내려오는 계곡이 나타난 다. 언제 평창동 마을을 샅샅이 걸으며 접해 볼 수 있 겠는가? 구기동 이북오도청 들어가는 곳, 구기터널 주위까 지가 6구간이다. 7구간을 시작하기 앞서 구기동 장모님 해장국집이 보인다. 11시가 넘었기에 미리..

산행기 2021.04.28

북한산 둘레길 제 5구간-명상길

북한산 국립공원 정릉주차장에서 왼쪽으로 진입하면 법륜사가 있다. 그 오른쪽으로 층계를 오르게 되는데 이곳이 명상길 (북한산 둘레길 제 5구간)이 되는 곳이다. 길이는 2.4km. 시작부터 엄청난 계단이다. 형제봉 등날로 가는 길이기에 오름세의 연속이다. 첫번째 언덕 끝에 두 갈래로 나뉘는 길인데 왼쪽으로 택해야 한다. 내리막길. 다음 수평으로 난 길로 전진한다. 개울 옆에 앉아 쉬면서 커피 한잔. 딱다구리 안내 표지판을 지나 북악공원 둘레길 탐방 센터에 도착하니 화장실이 있다. 이곳 주위에는 차도 다닐 수 있게 넓다. 주위 절들이 많아 절로 가는 길인가 보다. 넓은 길을 그대로 가면 마을로 내려가니 신경 쓰다가 오른쪽 옆 나무데크를 밟아야 한다. 다시 시작되는 언덕 구간. 언덕으로 오르다보니 형제봉과 북..

산행기 2021.03.20

정릉과 북한산 둘레길 4코스 솔샘길

3월 7일 첫째 일요일날 북한산 둘레길 4코스 솔샘길을 트래킹하고 정릉천을 내려와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강씨 가 잠들어 있는 정릉(貞陵)을 탐방하였다. 우선 화계역에서 걸어 올라 화계사 있는 곳에서 3코스인 흰구름길로 들어선다. 흰구름길은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정릉 대우아파트까지의 코스로 무척 긴 코스이다. 중간 화계사에서 들어서서 삼양동 위를 지나(빨래골 공원 지킴터) 솔샘터널 위에 있는 북한산 생태숲을 지난다. 북한산 생태숲은 잘 꾸며놓은 공원으로 아래 아파트촌 사 람들의 쉼터로 너무 좋은 곳이라 생각이 든다. 생태숲에서 둘레길 제 코스에서 벗어나 북한산 자락길로 들어선다. 북한산 자락길은 나무데크로 고르게 길을 만들 어 놓아 휠체어도 다닐 수 있게 하여 놓았다. 다시 둘레길로 들어서서 정릉동쪽으로 가니..

산행기 2021.03.11

첫눈에 낭만을 싣고...

금년들어 눈이 제법 온다기에 2020년 12월 13일 우이동으 로 갔다. 이번에는 우이암을 거쳐 도봉산 입구로 하산하려 하였는데 눈이 많이 온다기에 둘레길로 코스를 돌렸다. 우이동에서 시작해 솔밭공원까지 1코스요, 솔밭공원에서 4.19민주묘지를 지나 백련사입구까지 눈밭을 뽀득 뽀득 걸어본다. 12시 넘어 삼양동 우리 가게 옥상에서 홍어회와 애탕으로 지인 몇 명이 회포를 풀기로 하여 104번 버스를 타고 돌아 왔다. (2020년 12월 13일)

산행기 2020.12.15

포천의 진산 왕방산(王方山;737m)

그동안 둘레길을 여러번 트래킹하였기에 이번에는 포천 왕방산을 둘러보고 싶은 욕망이 생겨 12월 6일 날 아침 8시에 차를 가지고 포천으로 향했다. 왕방산은 포천의 진산으로 도선국사가 이 산에서 도를 닦고 있을 때 신라 49대 헌강 왕이 친히 행차하셨다 하여 왕방산(王方山)이라 하였고 그 때의 절을 왕방사라 했다 한다. 또한 조선 태조가 함흥에서 환궁하는 도중 형제의 난을 접하고 슬픈 마음을 달래기 위해 이 산에 있는 절에 체류 하였다 하여 왕방산이라 하고 왕방사라 하였다는 이야기 도 있다. 왕방산은 등산코스가 세 군데가 있는데 짧은 코스로 왕산사(王山寺)에서 오르는 코스가 있고 대 진대학을 지나 오지재고개에서 오를 수 있고 포천 시가지 끝 왕방산 공용 주차장(유한아파트 뒤)에서 시작하는 코스가 있다. 왕..

산행기 2020.12.08